에너지와 공간 | 에너지 공간 계획 연구 컨설팅

연구활동

2024

  • 보고서는 2030년까지 한국의 해상풍력 로드맵을 제시하여, 해상풍력 투자시장과 설치 수요가 향후 어떻게 전개될지 공급망 산업 입장에서 분석하고 전망함.
  •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정책을 제안함. 투자와 인프라 수요의 적시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장기 입찰 로드맵과 정부 주도의 선박 발주, 해상풍력 공급망 산업 육성 종합 계획,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재생-해상풍력 산업육성을 적극 지원하는 방향을 제안.

[연구] 시화호 일대 경기도형 재생에너지계획입지(RE100특구) 조성 설계

2024

  • 경기 RE100 달성 및 재생에너지계획입지(RE100특구) 조성 설계 연구

2024

  • 해상에너지산업체포럼의 정책제안서로 공급망 기업, 싱크탱크, 시민사회가 함께 논의한 결과물로, 국내 해상풍력 산업 활성화와 공급망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을 담고 있다.
  • 제안된 정책은 총 여섯가지로, “입찰물량 로드맵 발표와 인허가 창구 단일화”, “국가주도 항만·산업·발전단지 건설과 지원”, “공급망 기업 투자세액공제 확대”, “공급망 기업 지역 일자리 창출 지원”, 입찰 시 산업경제·일자리 창출 배점 강화”, “해외기업 투자유치와 수출지원 확대” 이다.

2023 – 2024

  • 해상풍력은 한국의 탄력적인 재생에너지 솔루션으로 등장했을 뿐만 아니라, 주요 해안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산업 기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.
  • 이 보고서는 경제적 이익을 촉진하고 투자를 유치하는 역할에 중점을 두고 해상 풍력이 한국 해안 지역에 제시하는 엄청난 잠재력을 조사합니다.

[연구] 경기도 RE100 특구 조성 여건 조사 및 모델 타당성 검토

2023 – 2024

경기 RE100 달성 및 에너지 전환을 위한 방안 연구

[연구] 기후·에너지 위기 대응 지역재생 기술 개발 및 현장 실증

2023 – 2024

농촌형 에너지 전환 방안 연구